주식 투자를 시작하면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단어들이 ‘매수’, ‘매도’, ‘호가’, ‘손절’, ‘익절’ 같은 용어들입니다.
하지만 투자 경험이 적은 사람들은 이 용어들이 낯설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주식 매수·매도 시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용어들을 쉽고 체계적으로 정리해 초보 투자자도 바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.
매수 타이밍, 주문 방식, 수익 실현 등 실제 매매에 활용되는 용어들을 하나씩 익혀보세요!
매수와 매도 기본 개념
주식의 사고팔기를 정확히 이해하자
- 매수 (Buy)
주식을 ‘사는’ 행위를 말합니다.
주가 상승을 기대하고 현재 가격에 주식을 구입합니다.
예) A기업 주식 1주를 10,000원에 매수 - 매도 (Sell)
주식을 ‘파는’ 행위를 의미합니다.
주가가 오른 뒤 매도하면 차익이 발생합니다.
예) 10,000원에 매수한 주식을 12,000원에 매도 → 2,000원 이익 - 평단가 (Average Price)
보유한 주식의 평균 매수 단가
예) 10,000원에 2주, 12,000원에 1주 매수 → 평단가 = (10,000×2 + 12,000×1) ÷ 3 - 수익률 (Return Rate)
(현재가 – 평단가) ÷ 평단가 × 100
예) 평단가 10,000원 → 현재가 11,000원 → 수익률 10%
Tip: 매수는 진입, 매도는 종료를 의미하므로 항상 투자 목적을 분명히 하고 실행해야 합니다.
주문 방식 관련 용어
주문 종류만 알아도 매매가 달라진다
- 시장가 주문 (Market Order)
현재 시장 가격에 즉시 매매 체결
장점: 빠른 체결
단점: 가격 불확실성 - 지정가 주문 (Limit Order)
원하는 가격을 지정하여 매매
예) “10,000원 이하로 매수하고 싶다” → 10,000원 지정가 주문
장점: 가격 조절 가능
단점: 체결이 안 될 수도 있음 - 예약 주문 (Stop Order)
특정 가격 도달 시 자동 매수·매도
예) “9,000원 되면 자동 매수” 설정 - IOC/FOC 주문
- IOC (Immediate-Or-Cancel): 가능한 수량만 즉시 체결 후 나머지는 취소
- FOK (Fill-Or-Kill): 전량 즉시 체결, 안 되면 전체 취소
- 호가 (Bid/Ask Price)
매수 희망가와 매도 희망가- 매수호가: 사고자 하는 가격
- 매도호가: 팔고자 하는 가격
Tip: 초보자는 지정가 주문을 사용하여 손실을 줄이고 심리적 안정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.
매매 전략 관련 핵심 용어
이익과 손실을 관리하는 실전 용어들
- 익절 (Take Profit)
목표 수익 도달 후 매도하여 이익 확정
예) 10,000원 매수 → 12,000원에 익절 - 손절 (Stop Loss)
손해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손실을 감수하고 매도
예) 10,000원 매수 → 9,000원에 손절 - 물타기 (Averaging Down)
하락 시 추가 매수하여 평단가 낮추기
위험: 더 떨어지면 손실 확대 가능 - 불타기 (Averaging Up)
상승 시 추가 매수하여 수익 극대화
위험: 고점 매수로 전환 시 리스크 있음 - 분할 매수/매도
한번에 거래하지 않고 여러 번 나누어 실행
장점: 가격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 - 매물대 (Resistance/Support Level)
과거 거래가 많았던 가격 구간 → 지지선 또는 저항선 역할
Tip: 익절과 손절 기준을 미리 정해두면 감정적 매매를 줄일 수 있습니다.
수수료 및 비용 관련 용어
수익률 계산 시 꼭 포함해야 할 항목들
- 증권사 수수료 (Brokerage Fee)
주식을 사고팔 때 발생하는 거래 수수료
보통 0.01% ~ 0.15% 수준 (증권사마다 상이) - 유관기관 수수료
한국예탁결제원, 거래소 등에서 부과하는 소액의 비용 - 세금
- 양도소득세: 해외주식은 연 250만 원 초과 시 발생
- 거래세: 국내 주식은 매도 시 발생 (0.23%)
- 배당소득세
배당금 수령 시 15.4% 세금 원천징수
Tip: 실수익률 계산 시 수수료와 세금까지 포함해 계산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.
시장 흐름 파악을 위한 용어
뉴스와 지표 해석을 위한 기초 표현
- 상한가 / 하한가
하루 상승/하락 가능한 최대 가격 제한
국내: ±30% - 호재 / 악재
- 호재 (Positive News): 주가 상승 요인
- 악재 (Negative News): 주가 하락 요인
- 공매도 (Short Selling)
주식을 빌려서 먼저 팔고, 나중에 되사서 갚는 방식 → 하락에 베팅 - 상승장 / 하락장 (Bull / Bear Market)
- 상승장: 전반적 주가 상승 추세
- 하락장: 전반적 주가 하락 추세
- 변동성 (Volatility)
주가의 급격한 오르내림 정도 → 위험성의 지표
Tip: 시장 뉴스를 이해하려면 용어에 익숙해지는 것이 가장 먼저입니다.
결론: 요약 및 Call to Action
주식 투자는 단순히 사고파는 행위가 아니라, 정확한 용어와 개념을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의 과정입니다.
이번 글에서 정리한 매수·매도 관련 용어들은 초보자가 실전 투자에 들어가기 전에 반드시 숙지해야 할 필수 지식입니다.
익숙해질수록 매매의 질이 달라지고, 투자 실력이 자연스럽게 성장하게 됩니다.
지금부터 하나씩 익히고, 매매할 때 직접 사용해 보세요.